본문 바로가기
잡지식

삼일절, 쉬면서 보는 삼일절의 진짜 의미

by Bokji-Tree 2023. 2. 25.

이제 다음주가 오면 104번째 삼일절을 맞이합니다. 저도 한 사람의 직장인으로서 삼일절이 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는데요. 사실 단순히 공휴일로의 의미만을 찾기에는 삼일절이 의미하는 바가 너무 큽니다. 저도 이번 삼일절을 맞이해 삼일절의 의미를 알아보고 태극기도 게양해보기 위해 이 글을 씁니다. 여러분들도 제글 참고하셔서 삼일절을 되새겨보시길 바랍니다.

삼일절의 의의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는 이런 문구가 있습니다.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민주이념을 계승하고…”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삼일절이 대한민국의 출발일로서 3월 1일을 기념하는 국경일이라는 것입니다. 삼일절 1주년 기념 노래에 나오는 가사를 통해서 당시 독립운동가들의 인식을 알 수 있는데, “만국기원절”, “개국기원절”, “대한민국 기원절” 등의 표현이 나옵니다. 일부에서 삼일절을 순국선열에 대한 애도와 추도를 의미하는 날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는데, 3월 1일이 대한민국의 시작임을 널리 알려 바로잡아야 할 것입니다.

역사의 전개

  1. 고종의 인산일에 맞추어 독립운동 전개
  2. 민족대표 33인이 태화관에 모여 기미독립선언서 발표
  3. 탑골공원에서 실제 시위를 주도한 15인을 더해서 민족대표 48인으로 칭함.


기미독립선언서는 당초 청원서의 형태로 발표하기로 했었으나, 청원은 일제에 독립을 요청하는 것이고 민족 자결주의 원칙에 반한다는 의견에 따라서 선언서의 형태로 발표되었습니다. 탑골공원에서 출발한 3.1운동은 처음에는 선언서의 정신에 따라 비폭력 시위 운동으로 시작되었으나, 도시에서 농촌으로 시위가 점차 확산되어감에 따라 무장투쟁으로 변화되어 갔습니다. 비록 3.1운동으로 우리가 독립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여러가지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 일제의 통치 방식이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변화
  • 이 후 국내, 국외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침
  • 다른 나라의 반제국주의 운동에 영향을 줌(중국의 5.4운동, 간디의 비폭력 주의 등)
  •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져 대한민국의 시초가 되었음.
  • 임시정부 2년 1920년에는 임시정부에 의해서 “독립선언일”로 지정되어 국경일이 되었음


국경일과 공휴일

  • 국경일 :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 공휴일 : 신정, 설날, 3.1절, 부처님 오신 날, 어린이날, 현충일, 광복절, 추석, 개천절, 한글날, 성탄절(제헌절을 제외하고 7개의 공휴일을 추가하여 총 11개)
  • 국경일과 공휴일의 관계 : 국경일이라고 해서 반드시 공휴일인 것은 아닙니다. 제헌절의 경우 국경일이지만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으며, 공휴일에서 제외됨에 따라 사람들의 인식에서 자연스럽게 잊혀지게 되었습니다.
  • 태극기 게양 : 3.1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 국군의 날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