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기도폐쇄 응급처치, 하임리히법에 대해 알아보자

by Bokji-Tree 2023. 4. 19.

기도폐쇄는 음식물과 같은 이물질이 기도를 막아 숨을 쉬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영아나 소아, 나이가 많은 노년층에서 자주 일어나는 일이기 때문에 그 응급처치법에 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는데,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이나 노인분들을 돌봐주시는 요양보호사분들이 자세히 알고 있으면 만일에 사태에 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부터 하임리히법을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목차
 1. 하임리히법이란?
 2. 성인 하임리히법의 방법
 3. 영아 하임리히법의 방법

 


하임리히법이란?

  • 1974년 이 방법을 고안한 의사인 헨리 하임리히의 이름을 따서 하임리히법이라고 합니다.
  • 환자의 복부에 강한 압력을 줘서 기도를 막은 이물질을 빼내는 방법입니다.
  • 헨리 하임리히 박사는 96세가 되던 해에 기도가 막힌 같은 요양원 거주자를 하임리히법을 사용하여 구해냈습니다.

성인 하임리히법의 방법

1. 기도폐쇄 환자의 증상

  •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해 안색이 창백해집니다.
  • 두 손으로 목을 부여잡고 허리를 숙이며 고통스러워합니다.

2. 119 신고

  • 위 증상을 보이는 사람이 있으면 바로 119에 신고합니다.
  • 대도시 기준으로 구급차가 도착할 때까지 평균 7분 정도가 소요되니 그 시간 동안 응급처치를 시행합니다.

3. 기침유도와 등 두드리기

  • 응급처치의 첫 단계입니다. 먼저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이물질이 빠지도록 유도합니다.
  • 기침유도와 함께 환자의 허리를 숙이게 하여 등을 강하게 두드려주며 이물질이 빠져나오도록 합니다.
  • 이 방법을 시도해도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으면 하임리히법을 시도합니다.

4. 하임리히법

  • 구조자는 환자의 뒤에 위치하여 환자의 다리 사이에 한쪽 다리를 끼워 넣고 환자가 넘어지지 않게 지지합니다.
  • 한 손은 주먹을 쥐어 환자의 배꼽 위에 위치시키고 다른 손은 주먹을 감싸쥡니다.
  • 환자의 허리를 숙이게 하고 두 손을 후상방으로 강하게 밀어 올립니다.
  •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또는 이물질이 빠져나올 때까지 반복합니다.
  • 만약 환자가 의식과 호흡을 잃으면 심폐소생술을 시행합니다.

5. 주의사항

  • 환자의 입안에 이물질이 보이더라도 함부로 손을 넣어 꺼내지 않습니다. 만약 제대로 잡지 못하면 더 밀려들어가서 기도를 완전히 막아버릴 수도 있고, 고통에 정신이 없는 환자가 자기도 모르게 깨물어 버리면 손가락을 크게 다칠 수도 있습니다.

6. 성인 하임리히법 교육 영상 링크

성인 하임리히법 교육 영상 

영아 하임리히법의 방법

1. 기도폐쇄 증상

  • 산소 부족으로 인한 청색증
  • 색색 거리는 호흡음 또는 쉰 울음소리를 내는 경우

2. 119에 신고

  • 울거나 재촉하기만 해서는 구급대의 도착을 지연시키기만 합니다. 침착하게 아이의 상태를 자세히 전달해 주세요.
  • 119 상황요원이 알려주는 대로 응급처치를 시행합니다.

3. 영아 하임리히법

  • 아이의 턱을 잡고 구조자의 전박 부분에 아이의 등이 하늘을 향하게 하여 고정시킵니다.
  • 아이의 날개뼈 사이를 손바닥의 두툼한 부위로 강하게 두드려 줍니다.(5회)
  • 아이의 뒤통수를 잡고 구조자의 전박 부분에  아이의 가슴이 하늘을 향하게 하여 고정시킵니다.
  • 아이의 젖꼭지 사이 가슴뼈 부분을 손가락 두 개로 압박합니다.(5회)
  •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또는 이물질이 빠져나올 때까지 반복합니다.

4. 영아 하임리히법 교육 영상 링크

영아 하임리히법 교육 영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