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지식

식목일의 의미와 나무 심는 법

by Bokji-Tree 2023. 3. 27.

매년 4월 5일은 식목일입니다. 이날은 국민들이 나무를 심는 등 생태환경의 보전과 지구환경의 개선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기념일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데, 이는 인류가 지구 환경과 자연을 지속적으로 보호하며 지구의 미래를 위해 노력하는 의지와 열정을 나타냅니다. 오늘 글에서는 식목일의 역사와 의미, 환경 보호와의 연관성, 그리고 나무 심는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식목일의 역사와 기원
2. 식목일의 의미와 중요성
3. 식목일에 나무 심는 법
울창한 숲

식목일의 역사와 기원

  • 식목일은 우리나라에서 1949년에 처음으로 제정된 기념일입니다. 그러나 나무를 심어서 삶과 자연을 기념하는 문화는 이미 옛날부터 전 세계적으로 존재했습니다. 식목일의 기원은 중국의 ‘춘분제’라는 명절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봄철에는 새로운 출발과 새로운 삶은 상징하는 나무를 심는 것이 중요한 의식으로 여겨졌고, 이를 기념하기 위한 춘분제에서는 대규모로 나무를 심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이미 나무를 심는 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조선 시대에는 식목일과 같은 행사가 열렸습니다. 그러나 국가적인 의미로 식목일이 제정된 것은 광복 이후인 1949년입니다. 이후 식목일은 매년 열리면서 우리나라의 녹지 조성과 생태환경 보호,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나무 심기 등을 위한 활동들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식목일의 의미와 중요성

  • 식목일은 우리나라에서는 환경 보호와 생태계 보전의 의미로 큰 중요성을 두고 있는 기념일입니다. 식목일을 통해 나무를 심는 것은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고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대기 중 오염 물질을 제거하고 산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나무를 심는 것은 대기 중 오염 물질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되며, 지구 환경의 개선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나무는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새롭게 생겨나는 공간에 나무를 심음으로써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목일은 환경보호와 더불어 자연과 조화롭게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됩니다. 나무를 심는 것은 우리에게 자연을 존중하고 생명을 살리는 것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좋은 방법입니다. 이러한 의미로 식목일은 단순한 나무 심기 이벤트가 아니라 지구 환경 및 생태계 보전과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의미 있는 행사입니다.

식목일에 나무 심는 법

  • 준비물 : 나무, 흙(마사토와 원예용 상토), 꽃삽, 꽃가위, 자갈류
  • 땅 정리하기 : 나무를 심을 땅에 돌과 가지 등을 정리
  • 구덩이 파기 : 구덩이 크기는 분의 크기와 높이 보다 더 크게
  • 흙 채우기 : 묘목의 뿌리를 잘 펴서 곧게 세운 후 겉 흙부터 구덩이의 2/3 가량 채울 것
  • 물 주기 : 주변에 물집을 만들어 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충분히 물을 줄 것
  • 멀칭 하기 : 물이 빠진 후에는 땅속에서 나온 돌 등을 이용하여 멀칭 해줄 것

@ 멀칭이란? 지표면의 침식 방지와 잡초 번식 억제, 수분 보존을 위하여 덮어주는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