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 정책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이란? 참여대상, 신청방법, 가스 절약법

by Bokji-Tree 2023. 1. 29.

연일 추위가 기승을 부리는 지금, 정부에서는 여러가지 지원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오늘은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이란 겨울 도시가스 사용량 감소를 위해서 운영하는 제도로 전년도 사용량보다 7%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캐쉬백해주는 제도입니다. 이제 신청마감이 임박했으니 끝까지 읽어 보시고 혜택 받아가세요!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참여대상은?

주택난방, 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분들은 누구나 참여가능합니다.

단, 난방 목적이 아닌 취사용, 취사전용 요금제 사용자이거나 전출 세대 등 전년도 사용량 자료가 없을 경우에는 참여가 제외됩니다.

 


신청방법 등

1. K-가스캐쉬백 사이트(K-gascashback.or.kr)를 통해서 가입

2. 신청기간 : 2022.12.01. ~ 2023.01.31.

3. 절약기간 : 2022.12.01. ~ 2023. 03.31.

4. 절감량 산정기간 : 23년 4월 ~ 5월

5. 장려금 지급시기 : 23년 6월 ~ 7월

6. 캐쉬백 지급기준

 - 전년 대비 7% 이상 절감시 절감율별 차등지급하며, 절감율이 높을수록 돌려받는 지급단가가 높아집니다.

  7% 이상 절감 10% 이상 절감 15% 이상 절감
지급 단가 30원/㎥ 50원/㎥ 70원/㎥

7. 지급 방식

 - 신청자의 계좌번호로 현금 지급


도시가스 절약법

1. 실내 난방 온도 설정

 - 실내 온도를 1℃만 낮게 설정해도 에너지 소비를 7% 절약할 수 있어요. 20℃에서 1℃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는 15%씩 증가하게 되며 적정 난방온도(18 ~ 20℃)로 설정하는 것은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2. 습도 유지

 - 보일러 가동과 함께 적정한 습도를 유지해주면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습도 40 ~ 60%를 유지하면 열 전달이 빨라져 실내 온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습니다.

 

3. 온수 온도 설정

 - 가스요금이 올라가는 요인 중 하나는 온수 온도를 최고로 설정하고, 물이 뜨겁다고 느껴서 다시 냉수 쪽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입니다. 온수 온도를 적정한 수준인 40℃정도로 설정하고 수압을 중간 정도로 사용하면 물을 데우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가스요금 증가도 피할 수 있습니다.

 

4. 수도꼭지 방향

 - 온수를 사용하고 수도꼭지 방향을 냉수쪽으로 돌려줘야 합니다. 수도꼭지 방향을 온수쪽으로 향해 놓으면 물을 데우기 위해서 보일러가 불필요하게 공회전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에너지가 낭비되고 가스요금이 올라가게 됩니다.

 

5. 방한용품 활용

 - 난방은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보일러 등을 이용한 난방과 함께 차가운 외기를 막아 줄 수 있는 에어캡, 커튼을 이용하거나 바닥의 따뜻함을 유지해주는 카페트 등을 깔아주면 가스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6. 보온용품 착용

 - 히트텍 등의 기능성 내의 및 수면바지, 수면양말 등 보온용품을 착용하여 체감온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7. 보일러 밸브 조정

 -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그고 방문을 닫아 열 손실을 방지합니다.


여기까지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제도를 통해서 우리가 에너지 절약을 위해 힘쓴다면 가정의 도시가스 요금도 줄어서 좋지만,

무엇보다 에너지를 절약하고, 그에따라 환경보호에 기여하며, 사회 전체적으로 옳은 방향으로 가는 결과를 이뤄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 모두 가스비 부담도 줄이고 에너지 절약도 실천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